stock/[Shorts News]

[Shorts News]LG화학, 새만금에 1.2조 투자 배터리 소재 공장 짓는다

금빛K 2023. 4. 18. 15:00
728x90

 

LG화학, 새만금에 1.2조 투자 배터리 소재 공장 짓는다

 

LG 화학이 세계 1위 코발트 생산업체인 중국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전북 군산 새만금에 배터리용 전구체 합작공장을 짓는다고 합니다.

국내 배터리 소재 공급능력을 대폭 늘려 급성장하는 세계 전기차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통해 LG그룹이 전구체부터 양극재, 배터리 셀로 이어지는 배터리 밸류체인을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14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오는 19일 군산 베스트웨스턴호텔에서 새만금개발청 등과 전구체 생산시설 건립 및 부지 확정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맺습니다. 전구체는 배터리의 4대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의 핵심 원료로, 양극재 원가의 70%가량을 차지합니다.

 

협약식에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쉬웨이 화유코발트 수석부총재,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 등이 참석합니다.

양사는 새만금국가산업단지 6공구 33만㎡에 1조 2000억 원을 투자하며 올해 말 착공해 2028년 말 준공할 계획입니다. 이 공장은 2029년부터 연간 5만 t의 전구체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전기차 60만여 대분에 탑재되는 배터리에 필요한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LG화학은 고려아연과 손잡고 내년 2분기부터 울산 공장에서 연 2만 t 규모의 전구체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새만금 공장이 준공되면 2029년부터 LG화학의 국내 전구체 생산능력은 7만 t으로 늘어난다”라고 말했습니다.

 

LG화학이 국내에 전구체 공장을 짓기로 한 것은 중국 일변도인 소재 공급 지역을 다변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소재 공급망 안정성을 높이고 미국, 유럽 등 각 지역 시장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원료를 공급하겠다는 전략입니다.

 

LG화학이 한국 배터리 공급망에서 ‘약한 고리’로 꼽히던 전구체의 국내 생산을 확대합니다. 전구체는 배터리 양극재 가격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원료지만 중국에서 수입하는 비중이 90% 이상일 정도로 의존도가 높습니다. LG화학이 전북 새만금에 연산 5만 t 규모의 전구체 합작 공장을 짓는 것은 ‘전구체 탈(脫) 중국’에 나서기 위해서입니다.

 

원료 단계인 전구체까지 투자를 확장해 미국, 유럽 등 글로벌 각국의 정책에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며 LG그룹은 이를 통해 전구체부터 양극재, 배터리 셀(LG에너지설루션)에 이르기까지 그룹 전체의 배터리 공급망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입니다.

 

LG화학이 국내에 전구체 공장을 건설하기로 한 것은 지난해 6월 착공한 울산공장(연산 2만 t)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이들 공장에서 생산된 전구체는 LG화학의 글로벌 양극재 공장 등에 공급돼 소재로 쓰입니다. 이 양극재를 받은 LG에너지설루션은 북미 공장 등에서 배터리 셀을 제조한 뒤 글로벌 완성차업체에 최종 납품합니다.

 

LG화학은 이번에도 중국 전구체·양극재 생산 기업인 화유코발트를 합작 파트너로 선택했습니다. 2018년 이미 중국에 전구체 합작 공장(연산 4만 t)을 설립해 기술 교류에 문제가 없는 상황이며 이 회사가 보유한 기술을 토대로 생산량을 빠르게 늘려가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전구체 제조에는 양극재만큼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진 않지만 생산 중인 양극재에 중국 전구체가 주로 적용되고 있어 공급 안정성을 위해 합작을 하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전구체는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을 배합해 만드는 양극재의 원료입니다.

 

원자재를 배합한 중간재이다 보니 리튬·니켈 등 광산이 많은 중국 업체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광물을 가공·제련하는 단계에서 오염물질이 다수 발생하는 데다 공정이 노동집약적이라는 점에서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이 전구체 생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소재업체, 전구체 투자 확대 LG화학이 원료 단계인 전구체 생산에까지 뛰어든 데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영향도 있습니다.

 

IRA에 따르면 배터리 광물을 가공할 때 미국 또는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에서 생산하는 부가가치가 전체의 50%를 넘어야 합니다. 이런 과정으로 제조한 광물 비중이 40%(올해 기준) 이상이어야 해당 광물을 적용한 전기차가 대당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구체는 광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한국에서 생산하면 IRA 규정에 부합하는 소재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 생산한 광물 비중을 줄여야 하는 글로벌 완성차·배터리 업체들은 국산 소재업체들에 전구체 공급 확대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화유코발트가 미국 정부로부터 우려단체로 지정돼 IRA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더라도 이 물량을 유럽 등 다른 공장에 공급하면 된다”며 “미국만 시장이 있는 것은 아니며 한국 배터리업체 공장은 세계에 퍼져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SK온과 에코프로가 중국 거린메이(GEM)와 함께 1조 2000억 원을 들여 새만금에 연산 5만 t 규모 전구체 공장을 연내 착공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LG화학뿐 아니라 포스코퓨처엠(옛 포스코케미컬), 에코프로그룹, 고려아연, 엘앤에프 등도 국내 전구체 생산, 투자 계획을 다시 짜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각각 경북 구미와 전남 광양에 연산 5000t 전구체 공장을 가동 중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경북 포항에 연산 5만 t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2024년엔 연간 8만 t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한다. 엘앤에프도 국내 첫 전구체 공장 투자를 검토 중입니다.


배터리 소재를 중국에서 수입하는 비중이 높아 의존도 또한 높습니다. 대부분의 배터리 소재 업체들은 이런 중국에 의존하는 비중을 줄이고 미국의 IRA의 혜택을 받기 위해 중국 업체와 손을 잡고 국내에 소재 공장을 짓고 있습니다. 소재 공급 능력을 늘려 급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 패권을 우리나라 기업들이 차지하길 기원합니다.

 

뉴스 바로가기 : LG화학, 새만금에 1.2조 투자 배터리 소재 공장 짓는다

728x90